▒ 마루일반상식 1. 마루일반 2. 마루재의 장점 3. 마루 바닥재 선택요령 4.마루의 수종별 특성 1 ▣ 비온돌용 마루(중보행용마루) 비온돌용은 업장용으로도 불리며 바닥 열에 의한 난방을 하지 않는 장소에서 적합하다.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합판구조보다 대부분 원목이 두꺼운 형태로 낱장의 폭이 넓고 길이가 길다. 사용처는 중보행용으로 신발을 신고 다니는 부위로 상업용 공간에 주로 사용된다. 예) 매장, 호텔, 상가, 백화점, 병원, 사무실 ▣ 온돌마루 ■ 통원목마루(Solid wood floor) ■ 원목마루 ■ 목질재료 마루(Wood floor) 원목수급의 한계에 따라 목질재료를 코어재로 사용한 마루로 코아재로는 합판(Plywood), 삭편판(Particleboard), 섬유판(Fiberboard)등이 주로 쓰인다. 원료(원목)공급의 한계성의 극복을 위해 목질재료의 사용이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기능성 측면에서 새로운 재료를 접착시키는 복합재 마루의 출현은 목질재료의 수요증가와 생산기술의 고도화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분야라 할 수 있다. ▣ 합판마루 ▣ 강화마루(일명 : 라미네이트마루, MDF) ◈ 용어 정리
2 ▣ 마루재는 천연나무로 만들어져 온도, 습도 조절작용, 삼림욕 효과, 전기파장억제기능, 방사능 방어기능 등으로 쾌적 ▣ 사용적 측면에서 다른 재료에 비해,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으로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 천연소재로서 부드러우며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여 준다. ▣ 보행 시 Wood Flooring은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며 겨울에는 보온기능으로 따뜻함을,
3 보통의 소비자들은 마루판을 선택할 때 아름다움(디자인),기능성, 가격 등 이 세가지를 주 고려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마루판은 탁월한 겉모습을 지녀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청소와 유지, 관리가 쉬워야 한. 국내의 바닥재 시장은 아직 DIY(Do-It-Yourself)시장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가까운 유통점이나 개, 보수 업체(인테리어 업체)들과 이러한 문제를 대개 논의하게 된다. 한 회사의 소비자 조사에서 따르면 국내의 마루판 소비자들은 대부분 개, 보수 업자들이 제공하는 정보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그들의 권유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아직도 국내 시장이 소규모이며 소비자들이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객관적인 고려 사항을 기준으로 시장조사와 더불어 세밀하게 결정한다면 소비자는 더욱 만족하게 될 것이다. ▣ 제1단계 :비교 검토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하여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가격대가 다르더라도 잡지 등의 기사를 수집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가정이나 전시장과 같은 곳을 방문할 때는 유심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자신의 마루판 기호도를 알 수 있고 선정의 폭을 좁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가능하면 마루판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권유를 들어본다면 개, 보수 업자들의 조언보다도 더욱 효과적인 기준이 될 것이다. ▣ 제2단계 : 선택 가까운 마루판 전문업체와 주택 인테리어(home interior)업체를 찾아가 재료들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최종 선택을 하기 이전에 여러 가지 견본을 수집하는 것이 좋다. 특히 조명과 채광은 마루판의 겉모습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짙은 색의 마루판과 일정한 패턴의 마루판은 공간을 좁아 보이게 만들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크기를 고려해야 하고 아울러 용도에 맞는 디자인 선정을 중요하게 생각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환경에 궁극적으로 조화될 수 있는 재료를 보는 안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제3단계 : 준비 제품의 선택에 따라 요구되는 준비를 하여야 한다. 이미 시공되어 있던 바닥재를 제거할 것인가, 아닌가? 필요하다면 하지(下地)의 수평 작업과 양생작업을 추가로 하여야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는 비교적 전문적인 시공전 준비 사항이므로 판매업체 및 시공 관리업체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 제4단계 : 시공 시공은 전문 시공업체에게 맡겨두는 것이 좋다. 국내 마루판 전문판매업체들은 제품 판매와 더불어 시공까지 일괄 계약하므로 시공 일자 등 시공관련사항을 그들과 상의하면 된다. 시공후 마루판의 청소 및 관리 요령, 품질보증여부, 하자 관련 처리 방법 등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 제5단계 : 평가 가구류를 재배치하게 되면 새로 시공된 훌륭한 마루판을 보게 될 것이다. 만약 예상했던 것과 같이 잘 마감되었다면 격조 높은 실내 인테리어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수년간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4 ▣ 참나무(오크,영:Oak,이:Rovere) 참나무와 참나무속의 총칭. 적참나무(Red Oak)와 백참나무(White Oak)가 있다. 낙엽 또는 상록교목이며 때로는 관목도 있다.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200∼250종이 자란다. 참나무는 한 속(屬)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상수리나무를 뜻하기도 한다. 재목은 매우 단단하여 쓰이는 곳이 많다. ▣ 너도밤나무(비취,영:Beech,이:Faggio) 참나무과의 낙엽활목 교목. 높이 약 20m에 달한다. 잎은 난형,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이 둥글고 물결 모양이다. 천연의 너도밤나무는 개성있는 표현과 영국풍 전원주택의 기분을 느낄 수 있어 고상하면서도 은은한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목재는 가구재, 선박재, 합판재로 쓰인다. 단단하고 강하며 치밀한 목리(나뭇결)를 지닌다. 착색 및 표백이 용이하다. 묵직한 옥리 배열을 갖고 흰색의 얇은 변재층과 적갈색의 심재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통직목리로써 관공의 크기가 작아 닫힌결을 나타내므로 재면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상태를 보인다. 나무갗은 곱고 균일하다. 도장, 착색 및 탈색이 용이하다. 탄력성이 있으면서도 단단한 재질을 지니며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마찰에 쉽게 마모되어 평활한 재면을 나타내므로 마루판으로써 인기가 있다. 손연장으로는 가공하기 어려우나 목공기계에 의한 가공성이 양호한 편이고, 만족스럽게 연삭된다. 못유지력이 양호하나 할렬(목재가 갈라터진 것)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 단풍나무(메이플,영:Maple,이:Acero)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무겁고 강하며 변형이 적고 충격, 저항성이 높다. 건조중 수축이 크게 발생하나 나뭇결이 부드럽고 착색이 용이하며 광택이 잘 난다. 심재는 유백색 내지 적갈색이며 변재는 담색 내지 유백색이다. 관공의 크기가 작아 닫힌결을 나타내므로 재면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상태를 보이고 중간 정도의 문양성을 지니며 나무갗은 균일하다. 클래식에서 현대적 감각의 분위기까지 광범위하고 개성있는 공간을 창출하며 매우 밝은 색이어서 주변 가구의 색채감을 강조합니다. 당단풍나무(Sugar Maple)와 경단풍나무(Hard Maple)가 있다. 누비무늬, 제금배(提琴背)무늬, 권모무늬 및 조안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무늬가 아름다운 판재는 별도의 등급으로 분류되어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 물푸레나무(애쉬,영:Ash,이:Frassino)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 보통 관목상이며,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색감은 단풍나무보다 약간 진한 톤이고 무늬가 곱고 아름다워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해 주고 주변기구와 잘 어우러지며 공간을 확장감 있게 한다. 목재는 운동기구재(애구용배트)·가구재·기구재로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나뭇껍질을 고미건재위·소염·수렴제로 사용한다.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무겁고 강하며 견고하여 충격에 강한 특성이 있다. 휨강도가 뛰어나며 마감공정이 용이하다. 아주 가벼운 목재가 요구되는 곳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용도에 사용되며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사용중에 매끈하게 마모가 발생한다. 심재는 황갈색 내지 갈색이며 변재는 유백색이다. 백참나무(white oak)와 겉모습이 비슷하나 대개 노란 색조가 더 강한 편이다. 간간히 히코리(hickory)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느나 큰 관공이 존재하는 공권부가 히코리보다 더 뚜렷한 편으로써 오히려 적참나무(Red Oak)와 비슷한 편이다. 적참나무보다 26%정도 더 치수적으로 안정하다. 탄력성이 있으면서도 단단한 재질을 지니며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마찰에 의해 평활한 재면이 얻어진다. 목공기계에 의한 가공성이 양호하고 만족스럽게 연삭된다. 못유지력이 양호하며 할렬에 대한 저항성이 양호하다. 도장에서도 알려진 문제점이 없으며 착색성도 우수하다. ▣ 벚나무(체리,영:Cherry) 가공 작업성이 탁월하며 균일한 무늬를 갖고 있고, 도장성이 매우 좋다. 강하면서도 어느 정도 단단하고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목공기계에 의한 가공성이 양호하고 만족스럽게 연삭된다. 못유지력이 양호하고, 알려진 문제점이 없다. 곡강도가 높고 빛에 민감한데 일광에 노출되면 재색이 심하게 변하게 된다. ▣ 웬지(Wenge) 갓 제재시 심재는 황갈색을 나타내나 결국 짙은 갈색 내지 거의 흑색으로 재색이 변하게 되는데 재면은 상대적으로 진하거나 옅은 색의 층을 교대로 배열된 형상을 띄게 된다. 정목제재시 통직목리가 나타나며 나무갗은 거친 편이다. 재색의 변이성은 중간 정도이다. 적참나무보다 48% 정도 더 치수적으로 안정하다.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공구의 날이 쉽게 무디어 지기 때문에 초경합금제 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족스럽게 연삭되며, 못유지력이 양호하다. 일부 용제계 착색제는 잘 건조되지 않는다. 최고급 흑단으로 중량감, 고급스러운 권위를 잘 나타내 주는 고급 수종이다. ▣ 티크(Teak) 변재는 옅은 크림색이며 심재는 짙은 금갈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일광에 노출되면 짙은 갈색으로 재색이 변하게 된다. 대개 통직목리이며 나무갗은 불균일하다. 재색의 변이성은 중간 내지 큰 편이다. 강도적 성질은 미국산 참나무와 비슷하다. 손연장과 목공기계로 가공하기가 다소 쉬우나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실리카(silica)로 인하여 공구의 날이 쉽게 무디어 지기 때문에 초경합금제 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삭(사포질)시 사포(sandpaper)의 연삭재 사이에 목분이 끼여 연삭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포를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한다. 못유지력이 양호하다.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 성분이 일부 도료의 부착과 건조를 방해하게 된다. 목재가 도료를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성질은 도장할 도료와 상용성이 있는 적절한 용재를 이용하여 표층의 수지 성분을 제거하면 된다. 기름이 칠해져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금속과의 접촉시 녹이나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점이 특이하다. 최고급 수종에 속하며 정통 티크목으로서 클래식하며 온화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각광받는 소재이다. ▣ 까브르바(Cabreuva Vermelha & Cabreuva Km31)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파라과이와 브라질이며 까브르바 버마와 까브르바 케이엠31 두가지가 있다. 까브르바 버마는 짙은 적갈색을 띠고, 까브르바 케이엠31은 짙은 갈색을 띤다. 재색의 변이성이 매우 적고, 재색이 매우 균일하여 고급스럽고 중후한 느낌을 갖게 하며 나무 특유의 향기가 있는게 특징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치수적으로 안정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급한 주택외에도 회의장이나 직무실, 고급상점 등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 도우시에(Doussie)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경도가 높고, 치수가 안정적이고, 색이 균일하다. 도우시에는 일광에 노출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갈색에서 적갈색으로 재색이 변하는 특징이 있어 천연 원목의 느낌을 가장 많이 느낄 수 있다. 단단하고 매우 강하며 마모에 저항성이 높은 편이고, 치수가 매우 안정적이다. ▣ 아프로모시아(Afrormosia) 원산지는 아프리카이며, 일광에 노출되면 황갈색에서 점차적으로 짙은 갈색으로 변하는 재색의 변이가 비교적 큰 편에 속하는 수종이다. 정목제재(Quarter-Swan) 방식으로 제재되었을 경우 곧은 마사무늬결이 아름다워 정돈된 느낌을 준다. 강도가 매우 강하고, 치수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 이로코(Iroko) 이로코는 아프리카에서 생산되는 수종이며, 옅은 갈색을 띠다가 일광의 노출에 비례하여 점점 짙은 갈색으로 변색된다. 뽕나무과에 속하며, 도우시에(Doussie)와 까브르바(Cabreuva)와 함께 치수가 가장 안정적인 수종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수종에 비해서 스크래치(Scratch)가 조금 있는 편이다. 이로코는 색이 균일하고 어떠한 색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가구, 벽지 등의 선택이 용이하다. |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석재종류 (0) | 2009.04.23 |
---|---|
[스크랩] 건축재료 석재 (0) | 2009.04.23 |
[스크랩] 슈퍼온도리 6mm소재와 단열재 비교분석표입니다. (0) | 2009.04.23 |
[스크랩] 슈퍼온도리 6mm소재와 단열재 비교분석표입니다. (0) | 2009.04.23 |
[스크랩] 집성목 (0) | 2009.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