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게장ㆍ흑산도 홍어 … "얘기만 들어도…"
배를 타고 들어가는 경도의 선착장 바로 옆 경도회관(666-0044)은 하모(갯장어)로 유명하다.
구백식당(662-0900)에서는 서대회와 금풍쉥이를 먹을 수 있다.
여수역 근처의 간장게장 골목에서는 황소식당(642-8007)과 두꺼비식당(643-1880)이 인기다.
흑산도 홍어를 맛보고 싶다면 덕인주점(242-3767)과 금메달식당(272-2697)을 찾으면 된다.
한정식으로는 장흥 장흥군청앞의 신녹원관(863-6622),강진군 병영면 신월리의 설성식당(433-1262),보성의 수복식당(853-3032),담양의 전통식당(382-3111),해남 해남군청 앞 매일시장 근처에 있는 천일식당(536-4001)을 추천한다.
광양에는 광양불고기의 명가 한국식당(761-9292)을 빼놓을 수 없다.
◇전라북도(063)=전주의 콩나물국밥으로 유명한 곳으로 전주관광호텔 뒤 삼백집(284-2227),동문사거리의 왱이집(287-6979),중화산동의 한일관(226-1569)을 꼽는다.
전주남부시장 내 현대옥의 콩나물국밥도 인기다.
고창 선운사 앞 신덕식당(562-1533)은 풍천장어구이를 먹으려고 찾는다.
순창에는 40년간 한정식을 팔아온 남원집(653-2376)을 가볼 만하다.
반찬이 2층으로 80여가지가 나온다. 어른 4명이 먹고도 남는다.
순창전화국 뒤편의 새집(653-2271)도 유명하다.
연곡해수욕장에 있는 커피전문점 보헤미안(662-5365)도 입소문이 자자하다.
◇속초시(033)=중앙시장 건너편의 옥미식당(635-8052)은 곰치국이 유명하고 인근의 속초회국수(635-2732), 88생선구이집(635-8892)도 널리 알려져 있다.
속초관광호텔 뒤편 송도횟집(633-4727)은 가자미회와 물회가 좋고,진양횟집(635-9999)은 오징어순대를 판다.
◇기타(033)=고성군에는 막국수의 지존으로 불리는 백촌막국수(632-5422)가 있다.
구포에 있는 재첩국 골목의 원조 할매재첩국(301-5321)도 찾아가볼 만하다.
동래의 녹산횟집(555-7404)에서는 볼락과 도다리 세꼬시를 먹을 수 있다.
동래구청 뒤의 동래할매파전(552-0791)도 명성이 높다.
자갈치시장 뒤 백화양곱창(245-0105)도 가볼 만하고 중앙동 부산호텔 부근에 있는 중앙대구탕(245-8330)은 멸치된장 쌈밥이 먹을 만하다.
청하면 청하시장 내의 시장식육식당(232-2670)도 많이 찾는다.
고래고기를 파는 모모식당(276-2727)도 놓치면 안된다.
남구 구룡포읍 영일수협본점 뒤편에 있다.
![]() |
|
◇전라남도(061)=여수에서는 돌산대교 근처의 백초횟집(644-6052)이 인기다.
반드시 예약을 하고 가야 한다.
반드시 예약을 하고 가야 한다.
![]() |
![]() |
전남 여수시 대교동 돌산대교 | ![]() |
배를 타고 들어가는 경도의 선착장 바로 옆 경도회관(666-0044)은 하모(갯장어)로 유명하다.
구백식당(662-0900)에서는 서대회와 금풍쉥이를 먹을 수 있다.
![]() |
![]() |
전남 여수시 중앙동 구백식당 | ![]() |
여수역 근처의 간장게장 골목에서는 황소식당(642-8007)과 두꺼비식당(643-1880)이 인기다.
![]() | |
목포의 영란횟집(243-7311)은 민어 요리로 알아주는 곳이다.
![]() |
![]() |
전남 목포시 만호동 영란횟집 | ![]() |
흑산도 홍어를 맛보고 싶다면 덕인주점(242-3767)과 금메달식당(272-2697)을 찾으면 된다.
![]() |
![]() |
전남 목포시 무안동 덕인주점 | ![]() |
![]() |
![]() |
전남 목포시 용당1동 금메달식당 | ![]() |
한정식으로는 장흥 장흥군청앞의 신녹원관(863-6622),강진군 병영면 신월리의 설성식당(433-1262),보성의 수복식당(853-3032),담양의 전통식당(382-3111),해남 해남군청 앞 매일시장 근처에 있는 천일식당(536-4001)을 추천한다.
![]() |
![]() |
전남 장흥군 장흥읍 신녹원관 | ![]() |
광양에는 광양불고기의 명가 한국식당(761-9292)을 빼놓을 수 없다.
![]() |
![]() |
전남 광양시 진월면 청룡식당 | ![]() |
![]() |
|
담양에서 떡갈비를 먹으려면 덕인관(381-7881),신식당(382-9901) 등에 가면 된다.
![]() |
![]() |
전남 담양군 담양읍 신식당 | ![]() |
◇전라북도(063)=전주의 콩나물국밥으로 유명한 곳으로 전주관광호텔 뒤 삼백집(284-2227),동문사거리의 왱이집(287-6979),중화산동의 한일관(226-1569)을 꼽는다.
![]() |
![]()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 한일관 | ![]() |
전주남부시장 내 현대옥의 콩나물국밥도 인기다.
고창 선운사 앞 신덕식당(562-1533)은 풍천장어구이를 먹으려고 찾는다.
![]() |
![]()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신덕식당 | ![]() |
순창에는 40년간 한정식을 팔아온 남원집(653-2376)을 가볼 만하다.
반찬이 2층으로 80여가지가 나온다. 어른 4명이 먹고도 남는다.
순창전화국 뒤편의 새집(653-2271)도 유명하다.
◎ 강원권
속초서 곰치국 먹고 … 진부에서 산채요리를 …
![]() | |
◇강릉시(033)=창령 조씨 반가음식과 부근 농가음식을 결합해 한정식화한 서지초가뜰(646-4430)에 들를 만하다.
![]() |
![]() |
강원 강릉시 경포동 서지초가뜰 | ![]() |
연곡해수욕장에 있는 커피전문점 보헤미안(662-5365)도 입소문이 자자하다.
◇속초시(033)=중앙시장 건너편의 옥미식당(635-8052)은 곰치국이 유명하고 인근의 속초회국수(635-2732), 88생선구이집(635-8892)도 널리 알려져 있다.
![]() |
![]() |
강원 속초시 금호동 속초회국수 | ![]() |
속초관광호텔 뒤편 송도횟집(633-4727)은 가자미회와 물회가 좋고,진양횟집(635-9999)은 오징어순대를 판다.
![]() |
![]() |
강원 속초시 금호동 진양횟집 | ![]() |
◇기타(033)=고성군에는 막국수의 지존으로 불리는 백촌막국수(632-5422)가 있다.
![]() |
|
편육과 함께 먹으며 반찬으로 백김치와 명태포무침이 나온다.
매월 둘째주 수요일은 쉰다.
영월군 영월역전 골목 안에 위치한 덕포식당(374-2420)에서는 질좋은 한우고기를 맛볼 수 있다.
평창군 진부에는 산채전문 식당인 부일식당(335-7232)이 유명하다.
30년이 넘은 곳이다.
용평리조트 근처인 횡계의 고향이야기(335-5430)는 곤드레밥이 인기다.
송어회와 매운탕을 즐길 수 있는 운두령송어횟집(332-1943)도 명성이 자자하다.
횡성 성우리조트 근처의 자매식당(344-2317)은 칼국수와 만두국이 일품이다.
매월 둘째주 수요일은 쉰다.
영월군 영월역전 골목 안에 위치한 덕포식당(374-2420)에서는 질좋은 한우고기를 맛볼 수 있다.
평창군 진부에는 산채전문 식당인 부일식당(335-7232)이 유명하다.
30년이 넘은 곳이다.
용평리조트 근처인 횡계의 고향이야기(335-5430)는 곤드레밥이 인기다.
![]() |
![]() |
강원 평창군 도암면 고향이야기 | ![]() |
송어회와 매운탕을 즐길 수 있는 운두령송어횟집(332-1943)도 명성이 자자하다.
![]() |
![]() |
강원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송어회 | ![]() |
횡성 성우리조트 근처의 자매식당(344-2317)은 칼국수와 만두국이 일품이다.
◎ 영남권
"아귀찜ㆍ할매파전ㆍ양곱창 드시러 오이소"
![]() | |
◇부산(051)= 중구 보수동에 위치한 물꽁식당(257-3230)은 아귀요리의 명가다.
![]() |
![]() |
![]() |
구포에 있는 재첩국 골목의 원조 할매재첩국(301-5321)도 찾아가볼 만하다.
동래의 녹산횟집(555-7404)에서는 볼락과 도다리 세꼬시를 먹을 수 있다.
동래구청 뒤의 동래할매파전(552-0791)도 명성이 높다.
![]() |
![]() |
![]() |
자갈치시장 뒤 백화양곱창(245-0105)도 가볼 만하고 중앙동 부산호텔 부근에 있는 중앙대구탕(245-8330)은 멸치된장 쌈밥이 먹을 만하다.
![]() |
|
해운대구 영주동의 삼대복국(465-7210)은 부산사람들이 많이 가는 복국집이다.
◇대구(053)= 남산초등학교 앞에 위치한 미성당(255-0742)은 납작만두로 유명하다.
동인동에는 '매운찜갈비촌'이 형성돼 있다. 매운찜갈비의 원조가 어느 집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어느 집을 가든 맛은 비슷비슷하다.
대구 동산의료원 근처의 섬유회관 바로 옆 골목에 있는 국일갈비(254-5115)도 가볼 만하다.
![]() |
![]() |
![]() |
◇대구(053)= 남산초등학교 앞에 위치한 미성당(255-0742)은 납작만두로 유명하다.
동인동에는 '매운찜갈비촌'이 형성돼 있다. 매운찜갈비의 원조가 어느 집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어느 집을 가든 맛은 비슷비슷하다.
대구 동산의료원 근처의 섬유회관 바로 옆 골목에 있는 국일갈비(254-5115)도 가볼 만하다.
![]() | |
밥과 국이 따로 나오는 국일따로국밥(253-7623)도 빼놓을 수 없다.
![]() |
![]() |
![]() |
청하면 청하시장 내의 시장식육식당(232-2670)도 많이 찾는다.
고래고기를 파는 모모식당(276-2727)도 놓치면 안된다.
남구 구룡포읍 영일수협본점 뒤편에 있다.
![]() |
![]() |
![]() |
![]() |
|
◇경상남도(055)=진주시 서부시장에 위치한 진주냉면(747-7428)의 육전과 냉면을 추천한다.
육회비빔밥도 유명한데 중앙시장 내 제일식당(741-5591)과 천황식당(741-2646)이 가볼 만하다.
사천시 중앙시장에 위치한 꼭지식당(832-6090)은 7000원짜리 한정식이 좋다.
창선대교 부근의 우리식당(867-0074)은 갈치와 멸치 요리를 잘한다.
◇경상북도(054)= 영주시 풍기역 근처의 서부냉면(636-2457)은 40년 역사를 자랑한다.
평양냉면 마니아들이 좋아한다.
봉화군 봉화역 근처의 한약우본점 식육식당(672-1091)에서 저렴한 한우를 먹을 수 있다.
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
육회비빔밥도 유명한데 중앙시장 내 제일식당(741-5591)과 천황식당(741-2646)이 가볼 만하다.
사천시 중앙시장에 위치한 꼭지식당(832-6090)은 7000원짜리 한정식이 좋다.
창선대교 부근의 우리식당(867-0074)은 갈치와 멸치 요리를 잘한다.
![]() |
![]() |
![]() |
◇경상북도(054)= 영주시 풍기역 근처의 서부냉면(636-2457)은 40년 역사를 자랑한다.
평양냉면 마니아들이 좋아한다.
봉화군 봉화역 근처의 한약우본점 식육식당(672-1091)에서 저렴한 한우를 먹을 수 있다.
한은구 기자
'빌려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강원도 숨겨진 음식이야기 (0) | 2007.11.18 |
---|---|
펌...강원도 숨겨진 음식이야기 (0) | 2007.11.18 |
펌.....을지로로맛집이야기 (0) | 2007.11.18 |
[스크랩] 여울이의 맛집 여행1호 [원당 감자탕 /아현역 /저렴한 한끼 시리즈1] 구수한 맛의 뼈해장국과 아삭거리는 김치찜 (0) | 2007.11.18 |
[스크랩] 여울이의맛집여행 1호[[매화반점/건대/건두부 볶음]착한 가격에 푸지만 음식 (0) | 2007.11.18 |